[구글크롬캐스트] 3세대 - TV에서 유투브좀 보자 구글크롬캐스트 3세대 저희 집에 있는 TV는 2013년도에 구매한 삼성TV에요. 스마트TV가 스마트폰의 뒤를 이어 한창 인기를 끌고, 3D 기술을 LG와 삼성이 뽐낼때 구매했던 제품입니다. 이 티비에 무려 Youtube 앱이 들어있었어요. 2013년도면 제가 Youtube를 자주 시청하던 때는 아닌지라, 그 때에는 그 소중함(?)을 몰랐죠. 그리고 2018년도에 들어서면서 Youtube시청을 하는 기회가 늘어났어요. 화질도 나쁘지 않고 컨텐츠들도 다양해 지면서 TV의 방송을 시청하는 것 보다 Youtube의 채널들을 시청하는게 더 재미있어졌습니다. 그리고 첫째가 3살이 되면서 Youtube Kids를 시청하게 해 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면서 우리집의 Youtube사용량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구글홈미니] 세번째 인공지능 스피커 구글 홈 미니 벌써 저의 세 번째 AI Speaker입니다. 첫 번째 AI 스피커는 카카오미니 였어요. 멜론의 열혈(?) 유저인지라 멜론 가입자에게 주어지는 할인 조건은 정말 메리트가 컸죠. 카카오미니가 발매되었을 당시에도 구글홈 미니는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굉장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었습니다. 다만, 그 때는 한글지원이 되지 않아서 국내에서는 크게 인기몰이를 하지 못했죠. 그러나 구글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플랫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컸죠. 카카오미니는 국내에서 굉장히 큰 메리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Io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홈을 구축하기는 힘들지만, 카카오톡, 카카오택시등과 같이 국내에서 유용한 서비스들과의 연계가 매우 좋았으니까요. 하지만 현재 카카오미니는 전원 연결조차 해 놓지 않.. [조직문화생각] 5. 존중은 '의식적'으로 존중 우리는 자신이 존중받기를 원합니다. 아무도 자신이 천대받기를 원하거나, 누가 나를 좀 홀대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나 남을 대할 때에는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회사니까, 업무니까, 상사니까, 선배니까, 나이가 많으니까 본인이 더 존중받아야 하고 상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위와 아래를 어느정도라도 나눌 수 있는 문화라면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서열이 존재하는 관계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여기서 서열이 위인 사람과 서열이 아래인 사람이 의견이 서로 충돌하는 과정을 살펴보죠. 서열이 위인 사람이 본인의 의견을 피력합니다. 서열이 아래인 사람도 똑같이 본인의 의견을 내세우죠. 어떠한 의견이 맞는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맥북구매후기] 1. 맥북이 필요해? 맥북이 필요해? 애플의 제품은 뭔가 개인적으로 인싸스러운 느낌이 있습니다. 이 한마디가 여러 논쟁의 중심에 있다는 것은 익히 잘 알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이런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이 사실이에요. 아이폰이 그랬고, 아이패드가 그랬고, 맥북과 아이맥도 저에게는 동일하게 느껴지는 인싸의 느낌을 지우기 힘들었어요. 하지만, 이런 인싸스러운 느낌에도 불구하고 애플제품을 잘 구매하지 않게 되었던 이유는 주로 사용하는 Windows와 연결성에 있어서의 불편함. 안드로이드와의 호환성에 있어서의 불편함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그리고 당연히 가격때문이었죠. 저러한 불편함이 조금 있다고 하더라도 가격 진입장벽이 낮았다면, 큰 고민을 하지 않고 구매했을 거에요. 그리고 지금까지 구매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 [조직문화생각] 4. 도전과 실패를 해보라고? 도전과 실패를 해보라고? 조직문화를 경직되게 하는 요소중의 하나는 바로 ‘도전’과 ‘실패’를 대하는 조직의 평가에 있습니다. 조직의 분위기에 따라서 ‘도전’의 필요성이 적다고 할 지라도 이것을 대하는 조직의 태도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여기서의 ‘도전’은 반드시 업무적일 필요는 없으며, 어떠한 큰 의미를 가져야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임직원의 건강을 위한 마라톤에 대한 도전일 수도 있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도전일 수도 있으며, 유럽 정복을 위한 여행 도전일 수도 있습니다. 도전은 언제나 배움을 기초로 하게 됩니다. 어떠한 분야로든 ‘도전’을 한다는 것은 모르는 영역에 대한 ‘배움’을 통해서 어떠한 경지에 이르거나 성과를 내는 것을 의미하죠. 회사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실제로 무엇인가를 배우지 않고 그..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6 다음